新
05:51
예술이란 무엇인가
레프 톨스토이
1897
러시아
성우
류시현
특정 계급의 전유물이 되어버린 채 분열과 미움을 조장할 정도로 타락해버린 예술을 향해 거침없이 일갈했던 톨스토이.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그가 꿈꿨던 '예술'은 과연 실현되었을까?
|
新
06:03
예술론
요한 볼프강 폰 괴테
1832
독일
성우
박송
위대한 작가인 동시에 뛰어난 예술이론가로서 방대한 양의 미술연구논문을 남기고 독일 고전주의 예술이론을 확립한 요한 볼프강 폰 괴테.
괴테가 말한다. "꽃을 주는 것은 자연이지만 꽃을 엮어 꽃다발을 만드는 것은 예술이다."
|
新
07:08
예술작품의 근원
마르틴 하이데거
1950
평론가
예술이란 예술가가 어떤 특별한 의미를 작품 속에 담아내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전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는 하이데거의 저작을 소개합니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1,092
- 평점4.6
- 토론글3
|
新
05:48
비극의 탄생
프리드리히 니체
1872
독일
성우
류시현
아폴론적 예술충동과 디오니소스적 예술충동으로 예술을 설명한 니체의 처녀작.
우리들 또한 그 충동의 힘을 발휘하여 한편의 예술작품과도 같은 삶을 만들어가는 '삶의 예술가'이지 않을까.
미시청
- 시간0:0
- 시청 2,082
- 평점4.2
- 토론글4
|
新
06:23
판단력 비판
임마누엘 칸트
1790
독일
성우
류시현
지금 우리의 정신은 무엇을 바라고 있는가?
인간을 논리적-이성적 존재로만 보지 않고 감성과 이성이 종합된 존재로 본 칸트.
정치에도 사회에도 인간관계에도 칸트의 미학, 아름다움이 절실한 시대다.
|
新
06:21
라오콘 - 미술과 문학의 경계에 대하여
레싱
1766
독일
성우
박송
미술과 문학은 같은 장르인가?
미술과 문학이 같은 장르라는 도그마를 깬 레싱의 문제작 <라오콘-미술과 문학의 경계에 대하여>을 통해 예술의 미묘한 경계에 대해 숙고해 본다.
|
新
05:23
인간의 미적교육에 관한 편지
프리드리히 본 실러
1794
독일
성우
박모건
인간은 어떻게 자유롭고 아름다운 존재가 될 수 있는가?
놀이하는 인간의 모습에서 아름다움의 의미를 찾고 자유에 이르는 길을 찾은 프리드리히 본 실러.
당신의 '놀이'는 무엇입니까?
|
新
06:54
예술의 종말 이후
아서 단토
1997
미국
평론가
예술의 종말과 새로운 시작을 선언한 책. 철학교수이자 미술 비평가인 ‘아서 단토’가 지금 이 시대의 예술이란 무엇인지 알려줍니다.
|
新
06:13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발터 벤야민
1936
독일
성우
박모건
기술의 발전이 사람들에게 상실감과 우울을 가져다 주었지만, 경험의 확대와 권위로부터의 해방도 함께 가져다 줄 것이라는 기술복제시대의 새로운 가능성에 주목한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 당신만이 가진 '아우라'는 무엇입니까?
미시청
- 시간0:0
- 시청 1,554
- 평점4.4
- 토론글2
|
新
05:27
빌헬름 마이스터 수업시대
요한 볼프강 폰 괴테
1829
독일
뮤직
독일 교양소설의 전범이 된 괴테의 대작.
삶의 마이스터(장인)가 되어가는 빌헬름의 인생 수업 일지.
삶의 마이스터를 꿈꾸고 있는 당신, 그대가 추구하는 '장인'의 모습은 과연 어떤 것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