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겐, 가장 어두운 시대에조차 어떤 등불을 기대할 권리가 있다. - 한나 아렌트 -
‘인생 경영’과 ‘기업 경영’의 원리가 같다고 말하는 책. 둘 다 ‘생존부등식’을 만족시켜야 성공한다는데요. 생존부등식이 무엇일까요?
‘자기 것만 챙기는 사람’이나 ‘받은 만큼만 돌려주는 사람’보다 ‘베풀고 주는 사람’의 성공확률이 훨씬 높다고 합니다. 정말 그럴까요?
고대 중국 시인 ‘도연명’의 ‘삶과 시문’은 조선의 사림에게까지 귀감이 되었습니다. 그의 영향력이 시공간을 뛰어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전체주의’의 근원을 파헤치고, 그 예방책을 모색하는 ‘한나 아렌트’의 또 다른 역작. 그녀가 경고하는 ‘기술적 전체주의’란 무엇일까요?
나치에 의해 가족을 잃은 유대인 철학자 ‘레비나스’. 그는 인간 내면에 도사린 근본적인 ‘악’을 발견합니다. 과연 그것은 무엇일까요?
예술이란 예술가가 어떤 특별한 의미를 작품 속에 담아내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전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는 하이데거의 저작을 소개합니다.
출간 후, 50여년의 시간이 훌쩍 흘렀어도 ‘사랑의 고전’ 자리를 계속 지키는 책. 나이를 먹을수록 다시 찾게 되는 그 책을 소개합니다.
타고르로부터 '마하트마(위대한 영혼)'라고 칭송받은 간디의 정신적 편력. 자신의 신념을 위해 평생을 바친 인류의 스승 마하트마. 그의 정신은 오늘날 전 세계인들의 마음속에 살아 숨 쉬고 있다.
사랑의 실천을 통해 행복과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기독교적 인류애를 설파했던 톨스토이. 그가 오늘을 사는 우리들에게 묻는다. 당신은 지금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가?
고전5미닛에 가입하신 회원정보를 입력해주세요.
비밀번호 5회 입력 실패로 계정이 잠금 상태입니다. 비밀번호 초기화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