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콘텐츠 시작
컨텐츠 목록
06:34
삼국유사 일연 1281~1283 한국 성우 박송

삼국사기와 더불어 한국 고대사를 기록한 고전 역사서의 금자탑이자 민족 정신문화의 보고(寶庫).
넘치도록 기록된 신비로운 이야기들과 문화적 유산들은 '삼국유사'를 21세기에 더욱 빛나는 고전이자 자산으로 자리하게 한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1,118
  • 평점4.6
  • 토론글4
06:03
난중일기 이순신 1795 한국 성우 박모건

역사가 담긴 사료로, 일기 문학의 정수로, 그리고 인간 이순신을 만나는 장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국보와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된 7년의 기록.
또 다른 '난중(亂中)'에 있는 당신.
당신은 오늘의 일기장에 무엇을 남기겠습니까?

미시청
  • 시간0:0
  • 시청 3,140
  • 평점4.8
  • 토론글6
06:01
백범일지 김구 1947 한국 성우 박모건

"'네 소원이 무엇이냐?'고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 '나의 소원은 우리나라 대한의 완전한 자주독립이오.'라고 대답할 것이다."
격동의 시대를 살다간 한 사내의 진솔한 기록.
당신은 지금 그가 꿈꾸었던 '아름다운 나라' 대한민국에 살고 있습니까?

미시청
  • 시간0:0
  • 시청 2,102
  • 평점4.6
  • 토론글7
05:22
동의보감 허준 1613 한국 성우 류시현

대한민국 국보 319호, 중국에서 25차례나 발행되었던 동아시아 최고의 의학백서,
세계 최초의 공중 보건의서로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유일한 의학서 동의보감.
의 저자 허준이 말한다.
"건강한 삶은 당신 자신의 것이니 양생(養生)하라."

미시청
  • 시간0:0
  • 시청 2,132
  • 평점4.7
  • 토론글3
06:23
삼봉집 정도전 1397, 1465 한국 성우 최대한

태조 이성계를 이끈 조선의 개국공신 정도전, 그 일생(一生)의 문집.
'민본주의'와 '민생정치'를 외치던 그의 저술 속에서 백성의 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정치의 본질을 탐구해 본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804
  • 평점4.6
  • 토론글4
05:43
동국이상국집 이규보 1251 한국 성우 박송

탁월한 감수성과 독창적 글쓰기로 한 시대를 풍미한 고려시대 최고의 문장가 이규보.
명분과 이념에 매몰되지 않았던 그의 문장 속에서 인문학을 통한 문장보국(文章輔國)의 멋을 음미해 본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628
  • 평점4.6
  • 토론글5
05:55
율곡전서 율곡 이이 1749 한국 성우 최대한

율곡 이이의 책과 글을 한데 모아 엮은 '율곡전서'
공부는 왜 하는가? 무엇이 사람다운 것인가?
이 책에는 정치가와 교육자, 위대한 학자로서 치열하게 살았던 그의 삶이 담겨 있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797
  • 평점4.6
  • 토론글4
05:40
고려대장경 작자미상 1251 한국 성우 박모건

대한민국의 국보이자 현존하는 최고(最古), 최고(最高)의 경전. 《고려대장경》에 담긴 '일체유심조 (一切唯心造)' 사상은 바람 앞의 등불 같던 당대를 지나 오늘날의 우리에게도 소중한 가르침을 전하고 있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1,041
  • 평점4.4
  • 토론글3
06:02
목민심서 정약용 1818 한국 성우 박송

낮은 곳을 바라보며 백성을 주인으로 섬겼던 진정한 목민관, 다산 정약용의 시대를 앞서간 혜안(慧眼).
그가 오늘을 사는 우리들에게 다시 한번 말한다.
"군자의 학(學)은 수신(修身)이 그 반이요, 나머지 반은 목민(牧民)이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3,716
  • 평점4.8
  • 토론글7
06:07
열하일기 박지원 1901 한국 성우 최대한

청나라 제도와 풍습의 옥석(玉石)을 낱낱이 밝혀 이용후생(利用厚生)의 뜻을 밝힌 박지원의 기행문.
죽는 그날까지 자신이 본 것을 통해 배우고 실천하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던 연암이 21세기를 사는 우리들에게 말한다.
"보고도 느끼지 못하는 것이 보지 못한 것보다 더 부끄러운 일이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2,279
  • 평점4.8
  • 토론글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