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콘텐츠 시작

한국의 사상과 철학

백성을 다스리는 것은 병을 치료하는 것과 같다. 백성 보살피기를 아픈 사람 돌보듯 하라. - 정약용 -

음성 뮤직
노벨상 수상 작품
컨텐츠 목록
06:01
백범일지 김구 1947 한국 성우 박모건

"'네 소원이 무엇이냐?'고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 '나의 소원은 우리나라 대한의 완전한 자주독립이오.'라고 대답할 것이다."
격동의 시대를 살다간 한 사내의 진솔한 기록.
당신은 지금 그가 꿈꾸었던 '아름다운 나라' 대한민국에 살고 있습니까?

미시청
  • 시간0:0
  • 시청 2,101
  • 평점4.6
  • 토론글7
06:05
백범일지 김구 1947 한국 뮤직

"'네 소원이 무엇이냐?'고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 '나의 소원은 우리나라 대한의 완전한 자주독립이오.'라고 대답할 것이다."
격동의 시대를 살다간 한 사내의 진솔한 기록.
당신은 지금 그가 꿈꾸었던 '아름다운 나라' 대한민국에 살고 있습니까?

미시청
  • 시간0:0
  • 시청 2,101
  • 평점4.6
  • 토론글7
06:07
열하일기 박지원 1901 한국 성우 최대한

청나라 제도와 풍습의 옥석(玉石)을 낱낱이 밝혀 이용후생(利用厚生)의 뜻을 밝힌 박지원의 기행문.
죽는 그날까지 자신이 본 것을 통해 배우고 실천하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던 연암이 21세기를 사는 우리들에게 말한다.
"보고도 느끼지 못하는 것이 보지 못한 것보다 더 부끄러운 일이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2,278
  • 평점4.8
  • 토론글7
06:10
열하일기 박지원 1901 한국 뮤직

청나라 제도와 풍습의 옥석(玉石)을 낱낱이 밝혀 이용후생(利用厚生)의 뜻을 밝힌 박지원의 기행문.
죽는 그날까지 자신이 본 것을 통해 배우고 실천하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던 연암이 21세기를 사는 우리들에게 말한다.
"보고도 느끼지 못하는 것이 보지 못한 것보다 더 부끄러운 일이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2,278
  • 평점4.8
  • 토론글7
06:02
목민심서 정약용 1818 한국 성우 박송

낮은 곳을 바라보며 백성을 주인으로 섬겼던 진정한 목민관, 다산 정약용의 시대를 앞서간 혜안(慧眼).
그가 오늘을 사는 우리들에게 다시 한번 말한다.
"군자의 학(學)은 수신(修身)이 그 반이요, 나머지 반은 목민(牧民)이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3,714
  • 평점4.8
  • 토론글7
05:46
목민심서 정약용 1818 한국 뮤직

낮은 곳을 바라보며 백성을 주인으로 섬겼던 진정한 목민관, 다산 정약용의 시대를 앞서간 혜안(慧眼).
그가 오늘을 사는 우리들에게 다시 한번 말한다.
"군자의 학(學)은 수신(修身)이 그 반이요, 나머지 반은 목민(牧民)이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3,714
  • 평점4.8
  • 토론글7
05:18
자산어보 정약전 1814 한국 성우 박모건

동생 정약용과 떨어져 자산(흑산도)에서 유배생활을 하며 쓴 한국 최초의 어류사전.
백성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실학'을 중시했던 그가 고통과 절망을 딛고 일궈낸 결실.
그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정신 속으로 들어가 본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644
  • 평점4.9
  • 토론글6
05:11
자산어보 정약전 1814 한국 뮤직

동생 정약용과 떨어져 자산(흑산도)에서 유배생활을 하며 쓴 한국 최초의 어류사전.
백성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실학'을 중시했던 그가 고통과 절망을 딛고 일궈낸 결실.
그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정신 속으로 들어가 본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644
  • 평점4.9
  • 토론글6
06:03
난중일기 이순신 1795 한국 성우 박모건

역사가 담긴 사료로, 일기 문학의 정수로, 그리고 인간 이순신을 만나는 장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국보와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된 7년의 기록.
또 다른 '난중(亂中)'에 있는 당신.
당신은 오늘의 일기장에 무엇을 남기겠습니까?

미시청
  • 시간0:0
  • 시청 3,137
  • 평점4.8
  • 토론글6
05:48
난중일기 이순신 1795 한국 뮤직

역사가 담긴 사료로, 일기 문학의 정수로, 그리고 인간 이순신을 만나는 장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국보와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된 7년의 기록.
또 다른 '난중(亂中)'에 있는 당신.
당신은 오늘의 일기장에 무엇을 남기겠습니까?

미시청
  • 시간0:0
  • 시청 3,137
  • 평점4.8
  • 토론글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