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콘텐츠 시작

What’s NEW

음성 뮤직
노벨상 수상 작품
컨텐츠 목록
06:05
프란츠 카프카 1917 독일 성우 박송

실종자, 심판과 더불어 카프카의 '고독 3부작'중 하나로 꼽히는 작품.
그것이 신이든 권력이든, 작품 속 '성'은 주인공이 들어가고자 하는 절대 세계.
그러나 그 불가지(不可知)적 성격에 발을 옮길 수 없다.
당신에게도 들어가야 할 성이 있습니까?
그 성 안에는 무엇이 들어 있습니까?

미시청
  • 시청 716
  • 평점3.8
  • 토론글1
  • 2023/06/01
05:41
무기여 잘 있어라 어니스트 헤밍웨이 1929 미국 성우 최대한

참혹한 전쟁 속에서 피어나 죽음으로 끝나는 슬픈 사랑 이야기. 비극이란 덫 앞에서 한없이 작아지는 우리들에게 헤밍웨이는 말한다. "이 세상은 사람들을 부러뜨리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 부러진 곳에서 더욱 강해진다."

미시청
  • 시청 2,409
  • 평점4.5
  • 토론글6
  • 2023/05/31
08:03
전략 사파리 헨리 민츠버그 외 2명 1998 미국 평론가

매니지먼트와 경영전략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자로 꼽히는 ‘헨리 민츠버그’의 대표작.
복잡한 경영전략의 세계를 5가지 족보로 정리하다!

미시청
  • 시청 60
  • 평점0
  • 토론글0
  • 2023/05/30
05:31
오레스테이아 삼부작 아이스킬로스 BC458 고대그리스 성우 박모건

"예술 작품 중의 예술 작품." -볼프강 폰 괴테. 고대 그리스 비극의 아버지 아이스킬로스, 그가 낳은 그리스 최고의 정신.
작품이 보여주는 '공정'과 '정의'의 정신은 하루에도 몇 번씩 판단과 결정을 내려야 하는 현대인들에게 깊은 가르침을 선사한다.

미시청
  • 시청 346
  • 평점4.8
  • 토론글2
  • 2023/05/29
05:31
라마야나 작자미상 - 고대인도 성우 류시현

총 7편, 2만 4천구의 시절(詩節)로 이뤄진 고대 인도의 대서사시.
우리에게도 진정한 자유와 행복을 위해 지켜야 하는 '다르마', '법과 의무'가 있다.
당신은 '다르마'를 지키며 살고 있는가?

미시청
  • 시청 577
  • 평점4.7
  • 토론글1
  • 2023/05/26
05:41
안티고네 소포클레스 BC441 고대그리스 성우 박송

고대 그리스 비극의 전성기를 연 소포클레스의 역작.
양심이라는 자연법과 왕의 명령이라는 실정법 사이에서 갈등한 안티고네.
법과 양심의 방향이 다를 때, 당신은 어느 편에 서겠는가?

미시청
  • 시청 764
  • 평점4.4
  • 토론글8
  • 2023/05/25
07:17
자본주의 대전환 리베카 헨더슨 2020 미국 평론가

“자본주의가 달라지고 있다! 그래서 기업도 달라져야 산다!”
하버드대 특별교수이자 MIT슬론스쿨 석좌교수의 경고입니다. 신중히 들어볼까요?

미시청
  • 시청 78
  • 평점0
  • 토론글0
  • 2023/05/24
06:36
가난한 사람들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1846 러시아 성우 문선희

스물 네 살의 무명작가를 일약 문단의 총아(寵兒)로 만든 도스토옙스키의 처녀작.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 그리고 가난하다는 것.
소설 속 두 인물의 삶을 통해 그것들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생각해 본다.

미시청
  • 시청 2,669
  • 평점4.7
  • 토론글3
  • 2023/05/23
05:53
미국의 비극 시어도어 드라이저 1925 미국 성우 최대한

주인공 클라이드의 비극은 물질만능주의가 팽배한 '미국의 비극'이었지만, 어느새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일그러진 자화상이 되어 '나의 비극'으로 우리 곁을 맴돌고 있다.

미시청
  • 시청 1,287
  • 평점4.4
  • 토론글5
  • 2023/05/22
06:02
더블린 사람들 제임스 조이스 1914 아일랜드 성우 박모건

20세기 초엽, 더블린에 사는 다양한 인간군상을 그려낸 제임스 조이스의 첫 소설.
어떠한 메시지나 교훈도 강요하지 않는 더블린 사람들의 풍경 속에서 우리들의 초상(肖像)을 발견한다.

미시청
  • 시청 432
  • 평점4.4
  • 토론글2
  • 2023/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