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05:23
노인과 바다
어니스트 헤밍웨이
1952
미국
성우
최대한
“인간은 패배하도록 창조된 게 아니야. 인간은 파멸 당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패배할 수는 없어.”
바다와의 싸움을 마치고 빈손으로 돌아온 밤, 굶주린 노인이 편안히 잠들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
新
05:17
니벨룽의 노래
작가 미상
1200년경
독일
성우
박송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떠돌다가 700년 만에 기록된 독일의 국민 서사시. 태풍과 거센 파도가 없다면 바다가 아닌 것처럼 세상도, 그리고 우리의 인생도 때로는 비극의 힘으로 나아가는 것이 아닐까?
|
新
05:47
데미안
헤르만 헤세
1919
독일
뮤직
'나'를 향하는 한 소년의 치열한 성장 이야기 - 헤르만 헤세가 쓴 청춘의 바이블
인생의 긴 여정이 너무 힘들어 주저앉고 싶은 당신, 자신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보라.
미시청
- 시간0:0
- 시청 7,524
- 평점4.7
- 토론글9
|
新
06:04
모비딕
허먼 멜빌
1851
미국
성우
배한성
집착과 광기에 사로잡힌 한 인간의 투쟁과 파멸을 그린 전율적인 모험소설. 지금 나는 앞만 보고 달려가고 있지는 않은가? 이 길은 과연 옳은 방향인가? '모비딕'을 쫓는 에이해브 선장의 모습에서 당신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新
05:45
무기여 잘 있어라
어니스트 헤밍웨이
1929
미국
뮤직
참혹한 전쟁 속에서 피어나 죽음으로 끝나는 슬픈 사랑 이야기. 비극이란 덫 앞에서 한없이 작아지는 우리들에게 헤밍웨이는 말한다. "이 세상은 사람들을 부러뜨리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 부러진 곳에서 더욱 강해진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2,371
- 평점4.5
- 토론글6
|
新
06:01
밤으로의 긴 여로
유진 오닐
1939
미국
성우
문선희
미국 극작가 중 처음으로 노벨문학상을 받고 퓰리처상을 네 번이나 수상한 유진 오닐의 대표작이자 마지막 작품.
때로는 상처를, 때로는 위로를 주고받는 그 이름, '가족'.
오늘, 안개 속에 숨어 있는 가족들에게 먼저 화해와 치유의 손길을 내밀어보는 것은 어떨까?
|
新
05:47
부활
레프 톨스토이
1899
러시아
성우
박송
이기주의, 양육강식, 승자독식 - 공격적이고 탐욕적인 사회 속에서 불안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 100년 전, 자신의 삶을 참회하고 부활의 길을 가려 했던 네흘류도프가 보여준 휴머니즘(Humanism)을 통해 그 불안증을 해소해 본다.
|
新
05:34
삼총사
알렉상드르 뒤마
1844
프랑스
성우
배한성
영화, 만화, 뮤지컬, 연극 등 전 장르로 각색되어 세계인의 뜨거운 사랑을 받고 있는 고전
개인의 이기와 탐욕때문에 정의와 원칙이 무너진 이 시대, 다르타냥과 삼총사가 외친다.
"하나는 모두를 위하여, 모두는 하나를 위하여!"
|
新
06:03
신곡
단테 알리기에리
1308-13
이탈리아
뮤직
정치와 종교, 문학과 철학 등 모든 주제를 망라한 상상의 대서사시.
인간의 구원은 신을 통해서인가, 아니면 사랑을 통해서인가?
중세 유럽사회를 휴머니즘의 꽃으로 물들인 '신성한 희극'에 귀 기울여 본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2,435
- 평점4.7
- 토론글6
|
新
05:27
실낙원
존 밀턴
1667
영국
성우
배한성
문학적 상상력과 철학, 종교, 예술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17세기 정신세계와 인문교양의 결정체.
행복한 타락(Felix Culpa)으로 더 큰 축복을 맞는 역설의 서사.
당신 안에 있는 낙원의 기억, 그 꿈을 절대 잊지 않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