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06:03
신곡
단테 알리기에리
1308-13
이탈리아
뮤직
정치와 종교, 문학과 철학 등 모든 주제를 망라한 상상의 대서사시.
인간의 구원은 신을 통해서인가, 아니면 사랑을 통해서인가?
중세 유럽사회를 휴머니즘의 꽃으로 물들인 '신성한 희극'에 귀 기울여 본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2,440
- 평점4.7
- 토론글6
|
新
05:48
양철북
귄터 그라스
1959
독일
뮤직
20세기 독일의 양심으로 불리는 귄터그라스의 첫 장편소설. 작가는 소설을 통해 20세기말 괴물 같은 독일 나치 정권과 당시 사회를 아프게 꼬집는다. 귄터그라스가 말하는 시대의 잘못에 경종을 울리는 <양철북>이란 무엇인지 확인해보자.
|
新
06:46
광장
최인훈
1960
한국
평론가
고달픈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으십니까? 소설 <광장>의 주인공 이명준도 그랬습니다. ‘유토피아’을 찾아 헤맨 그는 과연 행복해졌을까요?
|
新
06:49
카인의 후예
황순원
1954
한국
평론가
왜 우리나라는 아직까지도 분단된 상태일까요? 해방 공간을 다룬 최초의 소설, '카인의 후예'를 통해서 그 이유를 생각해보시지요.
|
新
06:31
토지
박경리
1969~1994
대한민국
평론가
연재 기간 26년, 원고지 4만 장 분량, 등장인물만 600여 명에 달하는 방대한 규모의 대하소설. 땅을 소재로 한 한국의 대표적인 문학작품.
|
新
06:22
탁류
채만식
1949
한국
평론가
일제 강점기에 한 여성이 겪는 파란만장한 삶을 그린 작품. 어둡고 혼탁한 현실을 사실주의적 수법으로 고발한 작가 ‘채만식’의 소설.
|
新
06:56
삼대(三代)
염상섭
1931
한국
평론가
1920년대 각기 다른 가치관을 지닌 가족 3대의 삶과 갈등을 통해 당대의 현실을 보여주는 소설. 우리나라에서 사실주의 문학의 포문을 연 작품.
|
新
06:12
픽션들
호르헤 루이 보르헤스
1944
아르헨티나
평론가
허구에 현실을 절묘하게 조합하여 세상에 없는 것들을 마치 세상에 존재하는 것처럼 착각하게 만드는 기상천외한 단편집
|
新
06:32
고향(故鄕)
이기영
1934
한국
평론가
근대화의 여파로 소지주와 자작농이 몰락한 일제강점기의 농촌. 부지런히 일해도 가난을 면치 못하는 농민들을 위해 앞장선 한 청년을 만나보세요.
|
新
07:02
인간조건
앙드레 말로
1933
프랑스
평론가
프랑스 작가 ‘앙드레 말로’가 중국의 공산주의 혁명을 직접 체험하고 쓴 소설. 프랑스 최고 권위의 문학상인 ‘공쿠르 상’ 수상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