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08:23
역사란 무엇인가
에드워드 핼릿 카
1961
영국
평론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역사 서적. 하지만 우리나라에선 한때 금서목록에 올랐다고 합니다. 이 책이 주장하는 내용은 무엇일까요?
|
新
05:23
종의 기원
찰스 다윈
1882
영국
성우
류시현
"그토록 단순한 시작에서 이토록 아름답고 놀라운 생명체들로 진화되었고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는 이런 생명관에는 장엄함이 깃들어 있다."
다윈이 '종의 기원'에서 한 말이다.
그렇다면 인간은 지금, '장엄한 생명의 나무'에서 올바르게 '진화'하고 있는가?
|
新
07:02
과학혁명의 구조
토마스 쿤
1962
미국
평론가
혹시 과학을 객관적이고, 중립적이며, 연속적으로 발전하는 학문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전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는 책이 있습니다.
|
新
06:40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아놀드 하우저
1951
헝가리
평론가
“문학이나 예술은 천재들이 특별한 영감을 받아 창조해내는 개인적인 것일까요?” 결코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는 책을 소개합니다.
|
新
06:03
예술론
요한 볼프강 폰 괴테
1832
독일
성우
박송
위대한 작가인 동시에 뛰어난 예술이론가로서 방대한 양의 미술연구논문을 남기고 독일 고전주의 예술이론을 확립한 요한 볼프강 폰 괴테.
괴테가 말한다. "꽃을 주는 것은 자연이지만 꽃을 엮어 꽃다발을 만드는 것은 예술이다."
|
新
07:08
예술작품의 근원
마르틴 하이데거
1950
평론가
예술이란 예술가가 어떤 특별한 의미를 작품 속에 담아내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전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는 하이데거의 저작을 소개합니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1,021
- 평점4.6
- 토론글3
|
新
06:54
차이와 반복
질 들뢰즈
1968
프랑스
평론가
플라톤의 ‘이데아’도 거부하고, 헤겔의 ‘변증법’도 거부하는 철학자 ‘질 들뢰즈’. 주류 철학을 싸잡아 비판한 그의 책을 소개합니다.
|
新
06:47
엔트로피
제레미 리프킨
1980
미국
평론가
경제학자가 과학이론을 활용해서 현대 문명의 문제점을 진단해낸 책. 인류의 종말을 경고하는 저자의 외침을 들어보세요.
|
新
06:55
시뮬라시옹
장 보드리야르
1981
프랑스
평론가
영화 매트릭스의 감독들에게 영감을 준 책. 언젠가는 우리 모두 매트릭스 같은 가상 세계에 갇히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논란의 책.
|
新
06:28
만들어진 신
리처드 도킨스
2006
영국
평론가
“이기적 유전자”로 유명한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 그가 이번에는 신과 종교가 없는 세상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