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06:32
열린사회와 그 적들
칼 포퍼
1945
영국
평론가
전체주의의 한복판에서 그것들의 몰락을 예견한 책. 왜 민주주의 체제를 선택하고, 지켜내야 하는 지, 그 이유를 알려주는 책.
|
新
06:18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나 아렌트
1963
독일
평론가
독일 출생의 유대인 정치사상가 한나 아렌트가 나치 전범 아이히만의 재판을 취재하고 집필한 책. 그녀가 말하는 악인의 탄생 이유는?
|
新
07:25
자유로부터의 도피
에리히 프롬
1941
미국
평론가
인간은 자유와 복종 중에 자유를 원한다고 생각하시죠? 그런데 사실 인간내면에는 복종을 원하는 심리가 숨어있다고 합니다. 정말 그럴까요?
|
新
06:09
신화의 힘
조지프 켐벨
1988
미국
평론가
왜 나라마다 신화가 있을까요? 어떻게 그 오랜세월 전해져 내려온 걸까요? 지금 신화의 비밀을 벗겨드립니다.
|
新
05:56
나와 너
마르틴 부버
1923
오스트리아
평론가
고작 100페이지의 짧은 책. 그러나 수많은 철학자와 교육자에게 영향을 미치고, 출간된 지 90년을 넘긴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귀한 책
|
新
06:41
고독한 군중
데이비드 리즈먼,네이던 글레이저,루엘 데니
1950
미국
평론가
1950년의 미국 사회를 파헤쳤지만, 70년이 지난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놀라운 책. 도대체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요?
|
新
07:06
소유냐 존재냐
에리히 프롬
1976
독일
평론가
우리는 왜 무언가를 가지려고 할까요? 물질적인 것뿐만 아니라 타인의 마음까지 소유하려 들지요. 그것이 과연 행복으로 가는 길일까요?
|
新
05:55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프리드리히 니체
1883
독일
성우
박모건
불친절하고도 난해한 책.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일어로 쓰인 책 중에서 [성서]와 [파우스트] 다음으로 가장 많이 읽힌 책.
사막처럼 매마른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삶의 예술가가 되어라! 그것이 최고의 행복이다."
|
新
05:41
정신현상학
헤겔
1807
독일
성우
박송
칸트에서 이어진 관념론을 완성하고 변증법을 창시한 헤겔.
진정한 자유를 누리고 싶은 우리 모두를 향해 헤겔이 묻는다.
당신의 '의식'은 지금 어떤 단계에 있는가?
|
新
07:11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쇼펜하우어
1818
독일
성우
박모건
맹목적인 욕망에 사로잡혀 고통 속에 살아가는 이 시대를 향해 쇼펜하우어가 말한다.
"우리의 욕구와 속박을 벗어나면 고귀한 평화가 느닷없이 저절로 나타난다. 그리고 그 순간 우리는 불행한 의지의 억압으로부터 해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