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콘텐츠 시작

예술, 예술가, 예술혼 특선 100

목록
선택

컨텐츠 목록
06:54
예술의 종말 이후 아서 단토 1997 미국 평론가

예술의 종말과 새로운 시작을 선언한 책. 철학교수이자 미술 비평가인 ‘아서 단토’가 지금 이 시대의 예술이란 무엇인지 알려줍니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717
  • 평점4.6
  • 토론글2
06:54
차이와 반복 질 들뢰즈 1968 프랑스 평론가

플라톤의 ‘이데아’도 거부하고, 헤겔의 ‘변증법’도 거부하는 철학자 ‘질 들뢰즈’. 주류 철학을 싸잡아 비판한 그의 책을 소개합니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719
  • 평점4.8
  • 토론글3
06:17
포스트모던의 조건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1979 프랑스 평론가

수없이 들어는 봤지만 설명하기는 어려운 개념, 바로 그 개념을 이해하는데 Key가 되어주는 책.

미시청
  • 시간0:0
  • 시청 480
  • 평점4.7
  • 토론글2
06:55
시뮬라시옹 장 보드리야르 1981 프랑스 평론가

영화 매트릭스의 감독들에게 영감을 준 책. 언젠가는 우리 모두 매트릭스 같은 가상 세계에 갇히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논란의 책.

미시청
  • 시간0:0
  • 시청 840
  • 평점4.6
  • 토론글3
08:25
괴델, 에셔, 바흐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1979 미국 평론가

돌멩이처럼 생명이 없는 물질로부터 자아를 가진 존재가 탄생할 수 있을까요? 그 가능성을 인지과학자 ‘호프스태터’가 설명합니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412
  • 평점4.7
  • 토론글3
06:13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발터 벤야민 1936 독일 성우 박모건

기술의 발전이 사람들에게 상실감과 우울을 가져다 주었지만, 경험의 확대와 권위로부터의 해방도 함께 가져다 줄 것이라는 기술복제시대의 새로운 가능성에 주목한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 당신만이 가진 '아우라'는 무엇입니까?

미시청
  • 시간0:0
  • 시청 197
  • 평점4.4
  • 토론글2
07:07
아케이드 프로젝트 발터 벤야민 1982 독일 성우 박송

철학과 예술, 미학과 문예비평, 언어철학과 도시이론을 아우르는 20세기 최고의 사상가 발터 벤야민.
그가 써내려간 19세기 수도 파리, 그 모더니티에 관한 기록은 환상에 빠져 사는 우리들에게 '각성을 통한 진짜 삶으로의 회귀'를 촉구하고 있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184
  • 평점4.1
  • 토론글5
07:08
예술작품의 근원 마르틴 하이데거 1950 평론가

예술이란 예술가가 어떤 특별한 의미를 작품 속에 담아내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전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는 하이데거의 저작을 소개합니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1,092
  • 평점4.6
  • 토론글3
06:40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아놀드 하우저 1951 헝가리 평론가

“문학이나 예술은 천재들이 특별한 영감을 받아 창조해내는 개인적인 것일까요?” 결코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는 책을 소개합니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379
  • 평점4.2
  • 토론글2
05:23
호모 루덴스 요한 하위징아 1938 네덜란드 성우 최대한

놀이에 대한 편견을 뒤집고 놀이를 문명 창조의 원동력으로 격상시킨
놀이 요소가 배제된 문명에 대한, 일과 놀이가 분리된 문명에 대한 한 역사학자의 진심어린 조언에 귀기울여본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190
  • 평점5
  • 토론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