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05:52
프랭클린 자서전
벤저민 프랭클린
1791
미국
성우
박송
자기계발서의 시초이자 미국 산문문학의 백미로 꼽히는 저술.
당신이 구입한 '호루라기' 값은 얼마입니까?
철저한 시간 관리와 엄격한 자기관리로 수많은 업적을 남겼던 그의 비밀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
新
05:55
의무론
키케로
BC44
고대로마
성우
박송
"정치가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은 이 책을 반드시 읽어야 한다." -비스마르크
도덕적 삶이야말로 궁극적으로 유익한 삶이자, 우리 삶의 '의무'라고 말하는 키케로.
이 책은 당신의 참된 삶을 위한 단 하나의 고전이 될 것이다.
|
新
06:53
국부론
애덤 스미스
1776
영국
성우
박송
고전경제학의 토대가 된 자본주의의 교과서.
250년이 지난 오늘날 우리가 사는 공동체는 진정한 국부(國富)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것일까?
지금 국부론을 다시 펼쳐봐야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
新
05:31
숭고와 아름다움의 이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
에드먼드 버크
1757
영국
성우
류시현
숭고를 아름다움과 분리해 독립적인 미학개념으로 재조명한 고전.
공포와 두려움, 고통을 주는 것들은 미학적 가치가 없는 것인가?
미의 본질에 대한 아름다우면서도 숭고한 버크의 ‘탐구’ 속으로 들어가 본다.
|
新
05:25
자유론
존 스튜어트 밀
1859
영국
성우
박송
“개인은 자기 자신에 대해서, 즉 자신의 육체와 정신에 대해 주권자이다.”
자유민주주의를 구성하는 핵심 원리이자 기초적 가치인 자유.
인류 정신사에 ‘자유’의 키워드를 던진 밀의 저술 속에서 당신은 그 중요성과 소중함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新
06:24
방법서설
르네 데카르트
1637
프랑스
성우
박모건
이성을 인도하고 진리를 탐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담론.
삶의 갈림길에서 길을 잃은 우리들에게 데카르트가 말한다.
"끊임없이 사고하라. 그리고 나 자신의 이성으로 내 삶의 어둠을 밝히라."
|
新
06:06
인간 불평등 기원론
장 자크 루소
1755
프랑스
성우
송유미
계몽주의 시대를 지배하던 정치적, 사회적 통념에 불응한 혁명적인 철학자 루소.
지금 당신이 살고있는 사회는 '자연의 법칙'에 부합하는 곳입니까?
18세기를 살던 루소가 오늘날의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이다.
|
新
05:40
리바이어던
토마스 홉스
1651
영국
성우
박송
시민사회를 위협하는 전쟁과 내전을 종식시키고 평화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강력한 국가'는 과연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종교적 국가론을 비판하고 근대적 국가이론의 초석을 닦은 홉스의 명저 속에서 그 답을 찾아본다.
|
新
05:24
군주론
마키아벨리
1513
이탈리아
성우
박송
"군주는 백성들의 안정과 평화로운 삶을 위해, 필요할 때 능숙한 사기꾼이나 위선자가 될 수 있어야 한다."
'더 큰 도덕을 위한 비도덕'을 주장한 마키아벨리.
직면한 위기를 돌파하는 당신의 리더십은 과연 무엇입니까?
|
新
06:07
유토피아
토머스 모어
1516
영국
성우
최대한
근대소설의 효시로 이상적 정치 이념을 잘 녹여낸 토머스 모어의 대표작.
이상적인 사회를 통해 당대 현실을 비판한 토머스 모어.
그가 꿈꾸던 '유토피아'는 과연 무엇이었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