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06:31
이기적 유전자
리처드도킨스
1976
영국
평론가
일벌은 여왕벌의 알과 꿀을 지킵니다. 적에게 침을 쏘는 자살행위도 마다하지 않지요. 왜 그럴까요? 바로 ‘이것’ 때문에 그렇답니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2,451
- 평점4.6
- 토론글4
|
新
06:47
엔트로피
제레미 리프킨
1980
미국
평론가
경제학자가 과학이론을 활용해서 현대 문명의 문제점을 진단해낸 책. 인류의 종말을 경고하는 저자의 외침을 들어보세요.
|
新
07:02
과학혁명의 구조
토마스 쿤
1962
미국
평론가
혹시 과학을 객관적이고, 중립적이며, 연속적으로 발전하는 학문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전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는 책이 있습니다.
|
新
08:09
부분과 전체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1969
독일
평론가
2차 세계대전 중 미국보다 먼저 원자폭탄을 만들 수 있었던 독일. 그런 상황을 막아낸 ‘하이젠베르크’의 이야기를 만나보세요.
|
新
08:25
괴델, 에셔, 바흐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1979
미국
평론가
돌멩이처럼 생명이 없는 물질로부터 자아를 가진 존재가 탄생할 수 있을까요? 그 가능성을 인지과학자 ‘호프스태터’가 설명합니다.
|
新
05:53
신기관
프랜시스 베이컨
1620
영국
성우
최대한
귀납적 연구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근대 과학의 문을 열어젖힌 경험주의 철학자 베이컨.
400년 전을 살다간 베이컨이 우리에게 묻는다.
"낡은 지식과 편견을 제거해야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다. 지금 당신이 파괴해야 할 '우상'은 무엇인가?"
|
新
06:38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1543
폴란드
성우
최대한
"코페르니쿠스의 이론보다 인류 정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발견은 없다." -괴테,
천동설을 반박하며 근대 과학 혁명의 물꼬를 튼 기념비적인 책.
당신 삶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은 무엇입니까?"
|
新
05:23
종의 기원
찰스 다윈
1882
영국
성우
류시현
"그토록 단순한 시작에서 이토록 아름답고 놀라운 생명체들로 진화되었고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는 이런 생명관에는 장엄함이 깃들어 있다."
다윈이 '종의 기원'에서 한 말이다.
그렇다면 인간은 지금, '장엄한 생명의 나무'에서 올바르게 '진화'하고 있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