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06:06
인간 불평등 기원론
장 자크 루소
1755
프랑스
성우
송유미
계몽주의 시대를 지배하던 정치적, 사회적 통념에 불응한 혁명적인 철학자 루소.
지금 당신이 살고있는 사회는 '자연의 법칙'에 부합하는 곳입니까?
18세기를 살던 루소가 오늘날의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이다.
|
新
05:37
사회계약론
장 자크 루소
1762
프랑스
성우
박송
자유의 철학자 루소.
그가 우리에게 말한다.
"자유는 자유로운 인간의 마음속에 있다. 자유로운 인간은 어디에 가서도 자유로우며, 악한 인간은 어디를 가도 노예 상태에 있다."
|
新
06:10
법의 정신
몽테스키외
1748
프랑스
성우
박송
21세기 정치 과목 강의와 서양사 수업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이름 몽테스키외, 그가 20년을 바친 필생의 대작.
민주주의의 초석이 된 그의 고전에 입맞춰 본다.
|
新
05:25
자유론
존 스튜어트 밀
1859
영국
성우
박송
“개인은 자기 자신에 대해서, 즉 자신의 육체와 정신에 대해 주권자이다.”
자유민주주의를 구성하는 핵심 원리이자 기초적 가치인 자유.
인류 정신사에 ‘자유’의 키워드를 던진 밀의 저술 속에서 당신은 그 중요성과 소중함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新
06:36
정의론
존 롤즈
1971
미국
평론가
부잣집에서 태어난 것은 ‘운’이 좋은 거고, 반대의 경우는 ‘운’이 나쁜 거죠. ‘정의’를 위해선 바로 이 ‘운’의 영향력을 약화시켜야 한답니다. 이게 가능한 일일까요?
|
新
05:50
실천윤리학
피터 싱어
1980
호주
평론가
무려 15개 언어로 번역되며 세계적으로 주목받은 응용윤리학 분야의 고전. ‘낙태의 합법화’, ‘안락사 옹호’ 등을 주장하는 파격적인 책
|
新
06:06
미국의 민주주의
토크빌
1835, 1840
프랑스
성우
류시현
신생국 미국에 대한 '위대한 보고서'이자 '민주주의의 교과서'.
자유와 평등이 만연해 있던 당대 미국을 경험한 구세계 청년 토크빌.
귀족가문 출신의 그가 살펴본 1800년대의 미국은 과연 어떤 모습이었을까?
|
新
06:32
열린사회와 그 적들
칼 포퍼
1945
영국
평론가
전체주의의 한복판에서 그것들의 몰락을 예견한 책. 왜 민주주의 체제를 선택하고, 지켜내야 하는 지, 그 이유를 알려주는 책.
|
新
07:16
공리주의
존 스튜어트 밀
1863
영국
평론가
짐승의 쾌락을 마음껏 느끼게 해준다고 짐승이 되려는 사람은 없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인간의 쾌락은 짐승의 쾌락과 어떻게 다를까요?
|
新
06:57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
하인리히 뵐
1974
독일
평론가
독일의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하인리히 뵐’의 소설.
한 여성을 통해서 언론 폭력의 실상과 무자비함을 폭로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