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05:42
니코마코스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
BC350
고대그리스
성우
조영철
만년의 아리스토텔레스가 쓴 고대 그리스 도덕론의 정점이요, 서양 윤리학의 사상적 골격이 된 고전.
도덕의 실천을 통해 행복에 도달할 수 있다는 그의 말 앞에서 개인의 이익과 희생의 무게만을 생각하는 우리의 모습을 반성해본다.
|
新
05:58
철학의 위안
보에티우스
523
고대로마
성우
김예진
임박한 죽음 앞에서 보에티우스 스스로 위안을 얻기 위해 사투를 벌이듯 써내려간 책.
"행운은 우리를 속이지만 불운은 우리에게 깨달음을 준다."
그가 성찰한 신과 인간은 어떤 모습일지 그의 고통 속으로 들어가 본다.
|
新
06:21
사물의 본성에 대하여
루크레티우스
BC50
고대로마
성우
박송
신과 종교를 절대적이라 믿었던 시대에 우주의 창조자를 부정하며 새로운 세계관을 열어준 철학 서사시.
우리가 할 일은 사물과 세상의 본성을 깨달아 현세의 삶에서 마음껏 행복을 누리는 것일지니.
"Carpe diem!", 평정한 마음으로 오늘을 누려라!
|
新
07:06
소유냐 존재냐
에리히 프롬
1976
독일
평론가
우리는 왜 무언가를 가지려고 할까요? 물질적인 것뿐만 아니라 타인의 마음까지 소유하려 들지요. 그것이 과연 행복으로 가는 길일까요?
|
新
05:31
인생론
레프 톨스토이
1887
러시아
성우
박송
사랑의 실천을 통해 행복과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기독교적 인류애를 설파했던 톨스토이.
그가 오늘을 사는 우리들에게 묻는다.
당신은 지금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가?
|
新
06:29
사랑의 기술
에리히 프롬
1956
독일
평론가
출간 후, 50여년의 시간이 훌쩍 흘렀어도 ‘사랑의 고전’ 자리를 계속 지키는 책. 나이를 먹을수록 다시 찾게 되는 그 책을 소개합니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1,151
- 평점4.6
- 토론글2
|
新
05:35
월든
헨리 데이비드 소로
1845
미국
성우
최대한
소로 스스로 자급자족의 삶을 실천하며 쓴 생태주의 복음서.
"이 한 권의 책으로 소로는 미국이 소유한 정신과 물질보다 앞서고 있다." -로버트 프로스트,
그가 좇았던 '북소리'에 발맞춰 '월든'에서의 삶으로 들어가 본다.
|
新
06:02
중용
자사
BC5
중국
성우
박송
'중용'은 적당한 타협이나 이도 저도 아닌 중간이 아니라 삶의 모든 부분에서 '중심'을 지키는 것.
당신 안에 담겨 있는 하늘의 본성, 그 중심(中心)을 복원하라!
|
新
06:00
논리철학논고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1921
오스트리아
성우
최대한
서양철학사를 통틀어 언어에 대해 가장 철저하게 회의하고 분석한 철학자 비트겐슈타인의 정수.
복잡하고 무의미한 철학적 문제들로부터 정신의 자유를 느끼고 싶은 당신, 지금 당장 "논리철학논고"를 펼쳐라!
|
新
05:53
베풂의 즐거움
세네카
56~65
고대로마
성우
박송
헬레니즘을 대표했던 스토아학파의 거두 세네카.
그가 말한다.
'베풂'은 우리의 본성이다.
우리는 베푸는 인간, 호모베네피쿠스(Homo Beneficus)이기 때문이다.
|